|
|
안녕하세요 예비 고 3 학생입니다. 상담이 필요해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ㅜㅜ 전 언어라는 소리만 들어도 정말 두려워요.. 지금도 예전 이만기 선생님 강의를 듣고 있지만, 문제풀때도 억지로 풀고 흥미가 없다보니 배운것도 잘 안 받아들어지고 안대고 어떤걸 암기해야 대는지도 모르겠고 이번 겨울방학때 꼭 반환점을 만들고 싶어서요.. 딴 과목들도 물론 힘들지만 알아가는 재미도있고 그런데 언어는.. 많은 학생들을 가르쳐보신 선생님께서 제가 남은 기간동안 어떤게 공부해야대는지 대략적인 과정좀 말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하루에 얼마정도 언어를 공부해야대는지.. 어떤거 부터 해야대는지.. 부탁드립니다..^^
|
|
|
|
|
|
|
|
지훈 학생, 언어 때문에 고민이 많군요. ‘언어 소리만 들어도 정말 두렵’다니 선생님도 걱정이 됩니다. 그런데 지훈 학생 모든 공부든 잘하려면 좋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렵다고만 생각하지 말고 재미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 선생님이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선생님은 지훈 학생이 다시 질문을 올려 줬으면 좋겠어요. 지금 질문은 막연해서 선생님이 지훈 학생이 어떤 분야나 어떤 유형의 문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가사면 가사, 쓰기면 등 지훈 학생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야를 명확하게 이야기 해주면 선생님도 명쾌한 조언을 해 드리지요.
언어 영역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해줄 수 있는 일반적인 조언을 해드리지요. 언어 영역 공부를 체계적으로 하려면, 우선 언어영역 시험은 과연 어떤 시험인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언어영역에는 어떤 분야의 글들이 출제되며, 문제의 유형은 어떠한 것인가를 알아야 합니다. 문학 시험은 어떤 특징이 있으며, 쓰기와 비문학 시험은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도 알아야 합니다.
다음으로 모의고사 풀이 등을 통해서 자신이 특히 어려워하는 부분이 무엇인가를 확인한 다음, 이를 집중적으로 공부하세요. 가사면 가사, 맞춤법이면 맞춤법, 비문학이면 비문학 등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셔야 합니다.
한 가지 더 말씀드리지요. 기출 문제나 평가원 모의고사와 같이 객관성이 입증된 문제 풀이를 통해서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정답을 찾는 연습을 하셔야 합니다. 지나치게 감에 의존해서 정답을 찍지 마시고 가급적이면 정답의 근거를 지문에서 확인하려고 노력하십시오.
지훈 학생의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다시 질문해 주세요. 꼭 도움을 드릴게요. 힘내요! 지훈 학생은 할 수 있습니다. *^^*
|
|
|
|
|
|
|